728x90
설명
정보통신 용어 정보
컬럼
-
id: 컨텐츠 ID
-
category_id: 카테고리 ID
-
category_name: 카테고리 명칭
-
word: 용어 이름 카테고리
-
name: 용어 명칭
-
title: 용어 명칭2
-
content: 용어 설명
-
page: 목록 페이지
Total 23408
[
{
"id": "038809-1",
"name": "가간섭성",
"category_id": "51",
"category_name": "용어사전",
"word": "ㄱ",
"page": 1,
"title": "가간섭성, 可干涉性, coherence, coherency",
"content": "①전자파(電磁波)가 파장이 같은 가지런한 정현파의 집합인 상태. 통신에 이용하는 전파는 모두 가간섭성 파이지만, 일반의 빛은 그렇지 않다. 특별히 가간섭성 광을 발생시켜 이용하는 것으로는 레이저나 홀로그래피(holography)가 있다. ②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또는 시간적/공간적 양쪽으로 분리된 점에서의 전자계(電磁界) 간의 상관관계."
},
{
"id": "038818-3",
"name": "가간섭성 광",
"category_id": "51",
"category_name": "용어사전",
"word": "ㄱ",
"page": 1,
"title": "가간섭성 광, 可干涉性光, coherent ray",
"content": "복수 광파(光波)의 위상과 주파수가 같아서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일치할 때의 광파. 통신에 이용되는 광은 가간섭성 광이어야 하나 일반 광은 그렇지 않다. 가간섭성의 발진기를 사용하여 특별히 가간섭성 광을 생성시켜 이용하는 것이 레이저나 홀로그래피(holography)이다."
},
{
"id": "038814-3",
"name": "가간섭성 광통신",
"category_id": "51",
"category_name": "용어사전",
"word": "ㄱ",
"page": 1,
"title": "가간섭성 광통신, 可干涉性光通信, coherent optical communication",
"content": "빛의 위상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방식. 가간섭성(coherent)이란 단일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며, 위상이 동기된 균일한 정현파를 말한다. 초고속이고 대용량인 기가비트 전송에 주로 이용된다."
},
...
{
"id": "096698-1",
"name": "PSS 홈 네트워크",
"category_id": "50",
"category_name": "TTA표준",
"word": "P",
"page": 4,
"title": "PSS 홈 네트워크, PSS's Home Network",
"content": "임의의 PSS에 대하여 PSS-HNP와 연관된 가상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PSS가 PMIPv6 도메인 내의 어떠한 네트워크로 이동하더라도 PSS는 이러한 가상 홈 네트워크에 계속하여 위치한 것처럼 느끼게 된다."
},
{
"id": "093345-1",
"name": "SOAP 특징",
"category_id": "50",
"category_name": "TTA표준",
"word": "S",
"page": 4,
"title": "SOAP 특징, SOAP feature",
"content": "일반적으로 통신 중인 SOAP 노드 사이의 메시지 교환관 연관된 SOAP 메시징 프레임워크의 확장. 기능의 예에는 \"안정성\", \"보안\", \"상호 관계\", \"라우팅\" 및 메시지 교환 패턴의 개념이 포함된다."
},
{
"id": "094302-1",
"name": "UII 셋",
"category_id": "50",
"category_name": "TTA표준",
"word": "U",
"page": 1,
"title": "UII 셋, UII set",
"content": "UII를 태그에 저장할 때의 기본 단위이며, ISO 코드, mCode, micro-mCode가 UII로 이용되는 경우에 \"P(Precursor) + OID(Object Identifier) + O(Obejct)\"로 구성되어 \"UII셋\"이라 하고, 여기서 \"O\"가 UII에 대응되어 모바일 RFID 서비스가 제공하는 ISO 코드, mCode, micro-mCode 등이 저장 됨. 단, 예외로서 UII가 EPC코드인 경우에는 \"UII셋\"으로 저장되지 않고, EPC코드 자체가 저장 됨. ISO 18000-6C 규격인 태그에서 \"UII필드\"에 단 한 개의 \"UII set\" 또는 EPC 코드가 저장되지만, ISO 18000-6B 규격인 태그에서는 \"사용자 데이터 필드\" 영역의 제일 첫 번째 자리에, 즉, \"Byte No. 18\"번부터 단 한개의 \"UII set\"만 저장되고 EPC코드는 저장되지 않음. UII코드 정보의 저장 형식은 EPC코드냐 아니냐에 따라 달라지는데, EPC를 제외한 UII는 \"UII셋\" 구조로 저장되고, EPC인 경우에는 EPC코드 자체로 저장됨"
}
]
'Crawling > 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축구 선수정보 -1 (0) | 2020.09.09 |
---|---|
영어 명언 사전 (0) | 2020.09.09 |
질병 사전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