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사회적 거리두는 블로그

현재위치 :: HOME BLOG CATEGORY SEARCH ARCHIVE TAGS MEDIA LOCATION GUESTBOOK

네비게이션

    관리자
    • 블로그 이미지
      JohnWick99

      프로그래밍, 꿀팁 정보를 알려드립니다.

      링크추가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리눅스 ISO 이미지를 이용한 패키지 설치 / redhat yum install

    CentOS랑 클론인 Redhat은 서브스크립션을 등록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yum repository를 이용할 수 없다. yum list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사진과 같이 빨간색으로 나오며 install 할 수 없다. yum repolist 또한 0으로 나온다. 이럴 경우 /etc/yum.repos.d/ 밑에 repo 파일을 추가하여 수정한다. dvd.repo를 만들었다. 지난 포스트에 만든 ISO 이미지가 마운트된 디렉터리를 경로에 추가 하였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디렉터리 안의 패키지 목록을 가져와서 설치할 수 있다. yum list , yum repolist 명령어를 입력 정상적으로 install 할 수 있다. 위의 사진은 아까 추가한 이미지를 이용한 로컬 저장소 한 개 기본적인 yum 명령어 ..

    OS(~2018)/Linux 2018. 8. 17. 16:49

    리눅스 ISO 이미지 만들기

    리눅스를 설치하고 DVD 이미지를 백업받아놓고 사용하면 편리하다. 먼저 DVD 삽입하여 확인한다. 가상 환경이라면 아래 사진처럼 ISO image를 선택하고 Connected 체크 후 OK 이미지가 마운트된 디렉터리를 ISO 이미지로 만든다. rpm -qa | grep genisoimage 로 확인 없으면 yum -y install genisoimage genisoimage -r -J -o /dvd.iso /'cd mount dir name' -r -J 옵션은 네이밍에 관련된 옵션이다. 기본적으로 3개를 써주자.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완료 마운트를 해보고 확인. 부팅될 때 마다 자동으로 마운트되게 설정해주자. 파일시스템 종류는 iso9660 마운트 옵션에는 loop, ro(read only) 다음..

    OS(~2018)/Linux 2018. 8. 17. 15:56

    리눅스 parted gpt 타입 파티션 생성하자

    fdisk 는 msdos타입으로 2TB 밖에 지원되지 않는다. 그 이상은 gpt타입을 지원하는 parted 을 사용해야한다. 먼저 패키지가 설치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rpm -qa | grep parted 설치가 안되있으면 설치 yum -y install parted fdisk는 w를 입력해야 저장되지만 parted는 설정과 동시에 디스크에 기록된다. 디스크를 추가하고 parted -a optimal /dev/sde 파티션 타입을 설정한다. 2TB 미만은 msdos 로 설정해도 무방. mklabel gpt (msdos) 1MB부터 5GB 까지 파티션을 생성한다. 0이 아닌 1MB부터 시작하는 것을 권장한다. mkpart pri 1M 5G 두 번째 파티션은 5GB 부터 끝 까지. mkpart pri 5G ..

    OS(~2018)/Linux 2018. 8. 13. 14:52

    리눅스 fdisk 파티션 생성과 마운트

    먼저 추가한 디스크를 확인해보자. lsblk , fdisk -l , cat /proc/partitions 등의 명령어가 있다. 그 중에 lsblk가 보기 편하다. fdisk 는 msdos타입으로 2TB 밖에 지원되지 않는다. 그 이상은 gpt타입을 지원하는 parted 을 사용해야한다. /dev/sdd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할 것이다. fdisk /dev/sdd m for help 기본적으로 사용 되는 커맨드는 n 생성 / p 출력 / w 쓰기 / d 삭제 왼쪽 터미널과 같이 디폴트로 순차적으로 진행하였고 Last cylinder, +cylinders or +size(K,M,G) 행에서 디폴트가 아닌 1 GB를 넣어주었다. 후에 똑같은 절차로 남은 용량 만큼 추가 할 수 있다. 오른쪽 터미널에 lsblk..

    OS(~2018)/Linux 2018. 8. 13. 14:51

    Vmware 리눅스 가상 디스크 추가하기!

    우클릭 Settings Add 클릭 Hard Disk 선택후 Next SCSI 체크 확인후 Next주로 PC는 SATA(Serial ATA), 서버는 SAS(Serial Attached SCSI)를 사용 새로 만드는 것이므로 Next NextFinish 완료 되었으면 리눅스를 재부팅한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파티션 생성과 마운트를 알아보자.

    OS(~2018)/Linux 2018. 8. 13. 14:20

    리눅스 LVM ( Logical Volume Manager ) - 3

    이번 포스트에서는 기존 파일시스템, LV, VG 까지 축소해보자. 확장의 역순이다. 1. 마운트 해제 2. 파일시스템 체크(필수) 3. 파일시스템 축소 4. LV 축소 다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해보면 정상적으로 축소되었다. 다음은 VG 축소 VG 에 묶여있는 특정 PV 를 떼서 그 PV 용량만큼 축소하는 개념이다.

    OS(~2018)/Linux 2018. 7. 23. 12:39

    리눅스 LVM ( Logical Volume Manager ) - 2

    이번 포스트에서는 기존 VG, LV, 파일시스템까지 확장해보자. 디스크를 확인하고, 남는 sdd 디스크를 사용한다. 기존 VG 를 확장한다. vg_data의 여유 공간이 1GB에서 3GB로 늘어났다. LV 의 용량을 확장해보자. 확장과 축소를 할 때는 lvresize 명령어보다는 lvextend, lvreduce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상대적 옵션 ( 남은 공간 100%를 확장 )lvextend -l +100%FREE /dev/vg~/lv~ 절대적 옵션 ( 50기가 확장 )lvextend -L +50G /dev/vg~/lv~ 다음은 파일시스템 용량을 확장 온라인에서 가능하지만, 축소와 마찬가지로 umount 해주는 것이 안전하다.

    OS(~2018)/Linux 2018. 7. 23. 11:46

    리눅스 LVM ( Logical Volume Manager ) - 1

    LVM ( Logical Volume Manager)은 저장장치를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일부와 프로그램이다. LVM은 PV ( Physical Volume )들을 VG ( Volume Group )으로 묶고, 이 VG에서 용량을 할당하여 LV ( Logical Volume )을 생성한다. LV는 용량을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디스크를 추가하고 확인하자. 그런다음 VG 을 확인하고, 기존 VG 에 확장할 것인지, 새로 만들 것인지 선택한다. VG 를 만들기 전에 다음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 1. 디스크 전체를 사용할 것인지 ex) /dev/sdb 2. 파티션을 나누어서 사용할 것인지 ex) /dev/sdb1 /dev/sdb2 ... PV 도 용량을 선택하여 줄 수 있다. ex)..

    OS(~2018)/Linux 2018. 7. 23. 11:12
    • 이전
    • 1
    • 2
    • 다음

    사이드바

    반응형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246)
      • Environment (3)
        • VSCode (1)
      • Linux(2020) (3)
      • API (14)
      • Crawling (11)
        • Basic (8)
        • Data (3)
      • Language (71)
        • Python (61)
        • Javascript (7)
        • Dart (3)
      • Application (35)
        • Flutter (11)
        • Flask (9)
        • PyQt5 (15)
      • AI (5)
        • ML (4)
      • IoT (24)
        • Raspberry Pi (24)
      • OpenCV (28)
      • Bot (8)
      • Errors (9)
      • Tools (3)
      • OS(~2018) (31)
        • Server (8)
        • Window (4)
        • Linux (16)
        • Tools (3)
    • 홈으로
    • 방명록
    • 로그인
    • 로그아웃
    • 맨위로
    SKIN BY COPYCATZ COPYRIGHT 사회적 거리두는 블로그, ALL RIGHT RESERVED.
    사회적 거리두는 블로그
    블로그 이미지 JohnWick99 님의 블로그
    MENU
      CATEGORY
      • 분류 전체보기 (246)
        • Environment (3)
          • VSCode (1)
        • Linux(2020) (3)
        • API (14)
        • Crawling (11)
          • Basic (8)
          • Data (3)
        • Language (71)
          • Python (61)
          • Javascript (7)
          • Dart (3)
        • Application (35)
          • Flutter (11)
          • Flask (9)
          • PyQt5 (15)
        • AI (5)
          • ML (4)
        • IoT (24)
          • Raspberry Pi (24)
        • OpenCV (28)
        • Bot (8)
        • Errors (9)
        • Tools (3)
        • OS(~2018) (31)
          • Server (8)
          • Window (4)
          • Linux (16)
          • Tools (3)
      VISITOR 오늘 / 전체
      • 글쓰기
      • 환경설정
      • 로그인
      • 로그아웃
      • 취소

      검색

      티스토리툴바